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세대 실손보험 절대 바꾸지마세요. 정말 후회하게 됩니다.
    보험 이야기 2022. 12. 30. 16:27
    반응형

    4세대 실손보험 절대 바꾸지 마세요.

    내년도 실손보험료가 평균적으로 9%가량 오를 것이라고 뉴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뉴스를 볼 때마다 예전부터 고민해왔던 저렴한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더욱더 고민만 커져가는데요. 오늘 이 글을 통해서 더 이상 고민하지 마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4세대 실손보험이 저렴하던데 바꾸는 게 이득일까요?

    4세대 실손보험은 정말 저렴합니다. 요즘 보험사에서 실손의료비를 전환할 시 1년간 할인도 꽤나 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손보험의 할증률을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1,2,3세대 실손보험의 경우 내가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할증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해당 연령대의 가입자들이 보험을 얼마나 사용했는지를 검토 후 모두에게 동일하게 할증을 시키는 것이며 할증률에 대해서 20%의 상한선을 적용시키게 됩니다.

     

    그렇다면 4세대 실손보험의 할증률은 어떻게 될까요?

    만약 내가 실손보험을 연간 100만원 이상 사용 시 100% 할증, 150만 원 이상 200%,

    300만 원 이상 사용 시 보험료의  300%까지 할증하게 됩니다. 반대로 실손의료비를 청구하지 않은 가입자는 얼마나 할인이 될 것인가?  겨우 5% 정도 할인율을 적용시켜 줍니다.

     


    실손보험 전환에 대한 개인적 견해

    매달 부담되는 보험료 때문에 당장 저렴하게 전환한다면 물론 좋을 수도 있겠습니다. 본인은 그동안 병원도 자주 간 적도 없을뿐더러 남들 다 청구하는 보험금조차도 받아본 기억이 없는 사람들은 혹 하실 수도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아픈사람들보다는 아프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겠죠?

     

    그런데 만약의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우리가 보험을 왜 가입하나요? 혹시라도 아플지도 모르는 상황에 대비하고자 가입하는 보험인데 정말 내가 아파서 100만 원, 200만 원, 300만 원 이상 병원비가 지출되고 그 후 할증이 된다면 그동안 적용되었던 할인율 보다 더 큰 보험료가 나가게 되는 상황도 올 수 있지 않을까요?

     

    누군가에게는 전환하는 게 이득이 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실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 혹은 보험사 및 설계사들이 실손보험을 전환해야 한다,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에 그저 따라가기보다는 적어도 이러한 내용정도는 알고 본인이 충분히 고민하고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간혹 나는 실비가 20만 원, 30만 원씩 납부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해당 금액은 실비와 함께 가입되어 있는 여러 가지 특약들이 합쳐진 금액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흔히 많이들 가입하시는 암, 뇌, 심장질환과 같은 진단비 그리고 수술비, 입원비와 같은 특약 보험료들이 합쳐진 금액일 것입니다. 4세대 실손으로 전환할 경우 모든 보험료를 저렴하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실비에 대한 금액만 조정이 된다는 것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결론

    현재 병원치료를 주기적으로 받고 있으며, 질환을 앓고 있거나 가족력이 있으시다면 기존 실비 유지.

    반대로 본인이 병원 갈 일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면 저렴하게 전환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혹시라도 전환 후에 병원치료를 받고 있는데 보험료 할증이 부담된다면 연간 100만 원을 넘지 않는 선으로 청구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